Day-6
결과가 생각보다 처참한데..😂
불합격
제 1문제: 오답 정리
문제# 2

사무용 대형 책상은 “비품” 계정(자산)의 증가로 처리합니다. 한편, 운송비는 부대비용에 해당하므로 비품의 취득 원가에 포함되는 점에 유의하세요. 또한, 미지급된 금액은 상품 매매 이외의 채무이므로 “미지급금” 계정(부채)으로 처리합니다.
문제# 3 ★

지급한 계약금은 상품을 받을 권리로서 “선급금” 계정(자산)으로 처리합니다.
아직 상품을 받지 않았으므로 “매입” 계정(비용)으로 처리하지 않는 점에 유의하세요.
계약 체결이란 단어에 주의한다.
문제# 6

고정자산을 매각한 경우, “감가상각누계액” 계정(자산의 차감 항목)도 감소시킵니다.
이때, “감가상각누계액” 계정의 감소는 차변에 기입해야 하는 점에 유의하세요.
또한, 고정자산 처분 손익은 매각 금액과 장부가액의 차이로 계산합니다.
분개 금액 계산:
고정자산 처분 손실:
매각 금액 700,000 – 장부가액 775,000 = △75,000 (손실)
※ 장부가액 계산:
취득원가 1,000,000 – 감가상각누계액 225,000 = 775,000
문제# 7

회수하지 못한 외상매출금(대손)은 이전에 발생한 판매와 관련된 외상매출금이므로,
먼저 “대손충당금” 계정(자산의 차감 항목)을 사용하여 보충하고, 부족한 금액은 “대손손실” 계정(비용)으로 처리합니다.
분개 금액 계산:
대손손실:
대손액 450,000 – 대손충당금 300,000 = 150,000
문제# 8

보증금(敷金)은 “차입보증금” 계정(자산)으로 처리하며, 중개수수료는 “지급수수료” 계정(비용)으로 처리합니다.
문제# 9

약속어음을 발행하여 자금을 차입한 경우, “어음차입금” 계정(부채)으로 처리합니다.
“지급어음” 계정(부채)으로 처리하지 않는 점에 유의하세요.
분개 금액 계산:
당좌예금: 차입금 1,300,000 – 지급이자 15,000 = 1,285,000
문제# 11

받은 금액 중 원금 부분은 “대여금” 계정(자산)의 감소로 처리하고, 이자 부분은 “수취이자” 계정(수익)으로 처리합니다.
분개 금액 계산:
수취이자: 대여금 3,000,000 × 7.3% = 219,000
문제# 12

토지 구매 수수료는 부대비용에 해당하므로, 토지의 취득원가에 포함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문제# 13 ★

- 거래의 배경
전자기록채권이란?
전자적으로 기록된 채권으로, 기존의 외상매출금(売掛金)과는 달리 법적으로 더 강한 효력을 가지며 관리가 용이합니다.
예: 기존의 종이 문서 대신 전자 시스템에 기록되는 채권
문제에서 埼玉商事에 외상으로 물건을 팔아 200,000엔의 외상매출금(売掛金)이 있었음.
埼玉商事가 이 외상매출금을 전자기록채권으로 전환해달라고 요청했음.
즉, 기존의 외상매출금이 사라지고 새로운 자산(전자기록채권)으로 바뀜.
- 왜 “전자기록채권”으로 변경되었는가?
외상매출금(売掛金)은 단순히 “받아야 할 돈”으로 기록되지만,
전자기록채권은 전자적으로 기록되기 때문에 법적 보장과 신용도가 높습니다. - 회계 처리 방법
외상매출금은 없어지고, 전자기록채권이라는 새로운 자산이 생김.
따라서 외상매출금(減少)을 기록하고, 전자기록채권(増加)을 기록해야 함.
분개 예시:
거래 내용:
문제# 14

배당금은 “미지급배당금” 계정(부채)의 증가로 처리하며, 이익준비금의 적립은 “이익준비금” 계정(자본)의 증가로 처리합니다.
결의 단계에서는 배당금을 아직 지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채의 증가로 처리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문제# 15

계약금 부분은 “선수금” 계정(부채)을 감소시키고, 잔액은 “외상매출금” 계정(자산)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발송 운임은 매출과 관련된 부대비용이므로, 비용(이 문제에서는 “운임지급” 계정)으로 처리합니다.
Tip. 매입과 매출 계정 운임 계산시 주의 사항
매입의 경우 발송 운임은 매입한 상품의 취득 원가에 포함되어야 하므로 “매입” 계정으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와 달리, 매출의 경우 발송 운임은 매출 관련 부대비용으로 보고 별도의 비용 계정(예: 지급운임)으로 처리합니다.
제 2문제: 오답 정리
문제# 1

장부명에 관하여
적요란에 “외상매출금”이라고 적혀 있는 점과 결말에 “회수”라고 적혀 있는 점으로 보아,
지급어음기입장이 아니라 받을어음기입장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장부 내의 “지급인”, “지급 장소” 등의 항목으로 인해 지급어음기입장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3월 10일과 4월 15일에 대해서는, 적요란을 통해 받을어음의 상대 계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5월 20일과 5월 24일은 결말란의 기입 내용을 바탕으로 분개를 작성합니다.
문제# 2

[정답]
① 18,000
② 652,000
③ 손익
④ 165,000
⑤ 이월이익잉여금
이 문제는 이익잉여금의 배당 분개와 결산 대체 분개에 관한 계정 작성 문제입니다.
①, ②… 순서로 하나씩 채워나갑니다. 또한, 계정만으로는 이해가 어려운 경우, 분개를 직접 작성하여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계정 작성 방법
계정의 차변과 대변을 순차적으로 확인하며 금액을 채웁니다.
분개 내용을 작성하여 각 계정 항목의 흐름을 이해합니다.
배당, 이익준비금, 이월금 등 연관 계정을 논리적으로 연결해 문제를 풉니다. - 힌트
배당 관련: 이익잉여금을 차감하고 이익준비금을 적립합니다.
손익 관련: 최종 금액은 손익과 이월이익잉여금 계정으로 처리됩니다.

- 차변 합계 68,000에서 차기로 이월되는 68,000이 확인된다.
- 대차 차액으로 계산한다.
- “이익준비금” 계정이 ②와 동일한 금액이 되므로(아래 분개 참조), 18,000이 된다.
- 대차 차액으로 계산한다.
- “손익” 계정이 ④와 동일한 금액이 되므로(아래 분개 참조), 165,000이 된다.
- 대차 차액으로 계산한다.

제 3문제: 오답 정리
문제# 1

대차대조표 기입


손익계산서 기입


해설










